https://youtu.be/3NvgNeHLX5A 현대 소설의 아버지이자 조선의 3대 천재 중 한 명이었던 춘원 이광수는 문학사에서 아픈 손가락 같은 존재입니다.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친일을 했기 때문이죠. 이를 두고 문학평론가 김현은 “이광수는 만지면 만질수록 그 증세가 덧나는 그런 상처와도 같다. 조선 현대문학사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지만, 그의 친일로 조선 정신사에 감출 수 없는 흠집을 만든 사람이 이광수.”라고 이야기합니다. 물론 오늘은 이광수의 친일 행적에 대해 다루진 않겠습니다. 그보다도 그의 뜨거웠던 사랑 이야기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이광수는 1917년 스물여섯 살 당시 결핵 진찰을 위해 우시고메 여자의학전문학교 부속 병원에 들렀다가 ‘허영숙’이라는 여자를 만나게 됩니다. 그녀는 ..
https://youtu.be/9ocfe_m6XoM 지금은 불륜이라고 하면 덮어두고 욕부터 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오직 ‘불륜’만이 사랑의 지위를 차지했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자유연애 사상이 이 땅에 들어서기 시작했던 1920년대, 수많은 남녀가 사랑을 위해 목숨을 던졌습니다. 그들은 모두 불륜이었습니다. 이미 부인과 남편이 있었기 때문이죠. 그들은 기존의 가부장적 유교 질서를 벗어나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과 연애하고 결혼하고자 했습니다. 극작가 김우진과 조선 최초의 소프라노 윤심덕 또한 자유롭게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세상은 그들의 사랑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당시 자유로운 연애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죠. 사랑의 불멸성을 증명하려 했던 것일까요? 결국 그들은 자신들의 사랑을 지키기..
https://youtu.be/L0A-oH9HZpk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하고 결혼할 거야.”라는 말이 100년 전까지만 해도 미친 소리로 들렸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지금은 너무나 자명해 보이지만, 100년 전에는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돌 맞을 짓이었습니다. 왜 그랬는지 궁금하시죠?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개화기의 혁명적인 사상이자, 문학 작품의 단골 주제였던 ‘자유연애 사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과 달리 당시 결혼은 사랑하는 사람과 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이 정해준 가문의 사람과 하는 사회적 관계였습니다. 조금 과장해서 얘기하면, 아버지들끼리 바둑 두다가 결정 납니다. “얘야, 너 김진사 댁 알지? 거기 둘째 아들이 이제 네 남편이다.” 그래도 이 정도면 운이 좋은 겁니다..
https://youtu.be/rT8j6CflN3A 많은 사람들이 노래로만 알고 있다는 ‘진달래꽃’입니다. 아니, 이젠 이 노래도 모르는 사람이 많지 않을까 싶은데요. 심지어 여자로 많이들 알고 있는 이 ‘진달래꽃’을 쓴 김소월 시인은 그래도 시인,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항상 최고의 시인으로 꼽힙니다. ‘백석’과 1, 2위를 다투긴 하지만요. 물론 우리 같은 일반인들도 김소월의 시를 정말 좋아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교과서가 사랑하는 시인이죠. 김소월의 ‘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역시 ‘한(限)’입니다. 주입식 교육의 힘으로 모두 잘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지만 ‘한(限)’이 정확히 무엇이고, 김소월이 어째서 그런 ‘한(限)’의 시인이 되었는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문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https://youtu.be/N2lze-acUGQ 여러분, 우리는 언제 사진을 찍게 될까요? 길을 가다가 너무 예쁜 꽃을 발견하거나 먹기 아까울 정도로 예쁘게 플레이팅 된 음식이 나왔을 때일 겁니다. 우리는 특별할 것 없는 풍경에는 셔터를 누르지 않습니다. 곧 사라져버릴 어떤 소중하고 특별한 대상을 간직하기 위해 우리는 사진을 찍습니다. 물론 사진 한 장에 내가 느낀 것을 온전히 담을 수는 없기에 항상 아쉽습니다. 그래도 지금, 이 순간의 감격을 오래오래 간직하고 싶으니 아쉬운 대로 찍는 것이죠. 시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싶습니다. 오늘은 특히 ‘시’를 중심으로 해서 ‘문학적’인 글이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왜 학교에서는 문학적인 글쓰기에 대해 가르쳐주지 않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진과 마찬가지로 시 또한 ..
https://youtu.be/yfB7CKAP4X8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도 먼저 일어난다.’ 김수영의 ‘풀’이라는 신데요, 정상적(?)으로 중고등학교를 나오셨다면 혹은 다니고 있으시다면 누구나 알고 있는 시죠? 물론 오늘 이 시를 다룰 건 아니구요, 시보다 김수영이라는 사람이 살아온 삶에 대해서 조명해보고자 합니다. 김수영을 한 단어로 설명해야 한다면 어떤 단어가 좋을까요? 힌트를 드리자면, 김수영을 수식하는 말로 ‘4.19의 시인’, ‘저항 시인’, ‘민중 시인’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요, 이것들을 모두 관통할 수 있는 단어입니다. 조금 어렵죠? 저는 ‘자유’라는 단어가 김수영을 가장 잘 포착한다고 생각하는데요, 누구보다 ‘자유’에 대해 민감했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불교사회주의
- 최린
- 구본웅
- 부모 역할훈련
- 금홍
- 결혼
- 대화법
- 불륜
- 정사
- 나-메시지
- 나-전달법
- 적극적 듣기
- 사랑
- 토마스 고든
- 문학
- 대중불교
- 자유연애
- 대화의 기술
- 만해
- 소나기는 그쳤나요
- 한용운
- 공감하기
- 대화의 방법
- 천재
- 국민 단편소설
- PET
- 이상
- 시인
- 권순옥
- 동반 자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