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이 꿈꿨던 불교
https://youtu.be/589Uh0La_wU 우리는 전편에서 민족투사로서의 모습과 한 남자로서의 모습, 시인으로서의 모습을 살펴봤습니다. 그러나 ‘한용운’의 근본은 역시나 불자, 승려입니다. ‘한용운’의 문학 연구를 주도했던 서울대 ‘송욱’ 명예교수님은 을 이라고 말합니다. 심오한 불교 사상을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다는 것이죠. “매우 깊고 넓은 불교 철학, 즉 팔만대장경에 실려 있는 내용을 누구나 읽을 수 있는 한국말로 그리고 시라는 형식을 통해서 풀이하고 결정시킨 것이 이 시집이다.” - 송욱 오늘은 승려로서 ‘한용운’의 모습을 통해 이 문제의 답이 왜 3번, 부처인지 설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용운’은 어릴 적부터 아버지에게 아침저녁으로 국가와 사회를 위해 몸을 바친 위인, 열사들에 대한 이..
문학
2021. 8. 22. 11:1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문학
- 천재
- 최린
- 자유연애
- 대화의 방법
- 시인
- 나-전달법
- 토마스 고든
- 대중불교
- 나-메시지
- 만해
- 결혼
- 금홍
- 불교사회주의
- 동반 자살
- 구본웅
- 소나기는 그쳤나요
- 대화의 기술
- 공감하기
- 권순옥
- 부모 역할훈련
- 적극적 듣기
- 대화법
- 국민 단편소설
- 정사
- PET
- 불륜
- 이상
- 사랑
- 한용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