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youtu.be/L0A-oH9HZpk “나는 내가 사랑하는 사람하고 결혼할 거야.”라는 말이 100년 전까지만 해도 미친 소리로 들렸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지금은 너무나 자명해 보이지만, 100년 전에는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한다는 것은 말 그대로 돌 맞을 짓이었습니다. 왜 그랬는지 궁금하시죠?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개화기의 혁명적인 사상이자, 문학 작품의 단골 주제였던 ‘자유연애 사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과 달리 당시 결혼은 사랑하는 사람과 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이 정해준 가문의 사람과 하는 사회적 관계였습니다. 조금 과장해서 얘기하면, 아버지들끼리 바둑 두다가 결정 납니다. “얘야, 너 김진사 댁 알지? 거기 둘째 아들이 이제 네 남편이다.” 그래도 이 정도면 운이 좋은 겁니다..
문학
2021. 6. 4. 23:45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시인
- 천재
- 나-전달법
- 부모 역할훈련
- 이상
- 불교사회주의
- 문학
- 결혼
- 대중불교
- 구본웅
- 국민 단편소설
- 적극적 듣기
- 자유연애
- 한용운
- 대화법
- 금홍
- 불륜
- 공감하기
- 나-메시지
- 소나기는 그쳤나요
- 정사
- 만해
- PET
- 대화의 기술
- 토마스 고든
- 동반 자살
- 사랑
- 권순옥
- 최린
- 대화의 방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